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(상, 중, 하)
아고타 크리스토프,
용경식 옮김, 1993년, 까치글방


양여사의 블로그에서 보고 그녀의 강력추천을 받고 사서 본 책.
만약 내가 이 책을 그 블로그에서 보지 않았더라면 어쩌면 평생 이런 책이 존재하는 지도 모르고 살았을 것이다.
물론, 이 책을 읽은 많은 다른 사람들처럼 가슴이 벌벌 떨리거나 충격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는 아니었지만, 그래도 한밤 중 단숨에 읽어내려갈 정도로 흡입력이 있는 건 사실이었다.
실제로 난 이 책 3권을 거의 6~7시간 만에 독파했다.

존재의 세가지 거짓말은 상중하 세권으로 나뉘어서 우리나라에서 출판되었고 이 책들은 아고타 크리스토프가 5년간에 걸쳐 따로 따로 발표한 세 작품이다.
원제는 <커다란 노트(Le Grand Cahier,1986)>, <증거(La Preuve, 1988)>, <세번째 거짓말(Le Troisieme Mensonge, 1991)> 이고, 우리나라에선 "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"-<비밀노트><타인의 증거><50년간의 고독> 이라는 제목으로 한꺼번에 출판되었다. 뭐 원제목이나 번역본 제목이나 읽고 나면 다 일리가 있어 보인다.

1부 <비밀의 노트>는 사실 충격적인 얘기 그 자체다.
이 글은 작중 주인공인 쌍둥이 형제가 어린 시절에 전쟁을 겪으며 할머니라는 사람의 집에서 온갖 고난을 겪고 살면서, 스스로 "우리들의 공부" 라고 일컬으며 비밀노트에 기록해 둔 것들이다. 이 글들에는 그 어느 곳에도 감정이나 주관적인 생각은 없이 모두 객관적인 사실만을 독특하고 간략한 문체로 전하고 있다.
하지만 그 객관적인 사실들이라는 것이 얼마나 잔혹하고 충격적인지.. 읽는 사람들은 마치 그 현장에나 있는 듯이 역겨움과 공포를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다. 나는 읽으면서, 다시 한 번 이 작가가 어디 태생인지를 뒤져 보고 나서, 역시 동구권 사람답군. 이라는 생각을 했다.
아무리 그녀가 젊은 시절에 다른 나라로 건너가서 생활하고 프랑스어로 글을 썼다 해도, 그 사람 안에 배어 있는 그 문화와 민족적인 향취는 버릴 수 없나보다.
항상 동구권의 영화나 소설은 리얼리즘 그 자체였으며 보는 사람들을 한없이 경악스럽게 하는 데 뭐가 있잖아.

이 노트는 아이들이 써내려간 것 답게 그들이 독일군, 소련군, 유태인수용소 같은 걸, 그냥 외국 국인, 또 한 무리의 다른 외국 군인, 어떤 사람들의 수용소 이런 식으로 애들이 이해한 만큼의 눈높이로 써놨다. 지금 그들이 겪고 있는 전쟁도 무슨 전쟁인지 전혀 밝혀놓지 않았고. 그 아이들이 아무리 영악해도 그 모든 걸 다 명확히 서술할 순 없으므로.

1부 마지막 부분에서 엄청난 미끼로 또 다시 2부를 들게 하는 힘.
근데 아고타는 원래 전체를 3권으로 쓸 생각이 없었다는데도 어쩌면 이렇게 끄트머리에 항상 다음 권을 읽고 싶게 하는 영리한 미끼를 던져 두었을까나... 역시 작가들은 글을 쓸 때 살짝 신이 내리나보다.

2부 <타인의 증거>는 마치 박경리의 <시장과 전장> 을 읽는 듯한 느낌.
평생의 동반자를 잃은 루카스의 정신 나간 듯한 젊은 삶이 참으로 애달프고, 클라라라는 여자의 대목을 읽고 있으면, 전쟁통 중에 남편을 찾아 헤매는 <시장과 전장>의 지영과, 두려움 속에서 멍청히 떨고 있던 가화가 동시에 생각난다.
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곳의 풍경은 어느 나라나 다 비슷한 걸까...

2부가 거의 끝날 무렵, 곱추 소년 마티아스가 죽었을 때는 나도 모르게 울음이 터져 나왔다.
읽는 내내 그 아이의 집착과 그 아이의 컴플렉스가 너무도 불편하고 싫었었는데, 막상 죽음에 이르니 나도 모르게 꺽꺽 울음이 새어 나오는 것이 매우 당황스러울 정도였다.

3부 <50년간의 고독>에선 앞의 1, 2부는 모두 거짓말이었어요.. 라며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다 뒤집어 엎어버리는 진짜 진실이 나온다. 하지만, 앞에서 줄곧 계속 되었던 인간의 고독과 전쟁의 비극은 여전히 계속 되고, 오히려 1,2부보다 3부가 내겐 더 쓸쓸하고 슬펐다.

밀란 쿤데라에 때때로 비교된다는 이 작가의 책은 적어도 내 느낌으로는 쿤데라보다는 10배는 쉽게 읽을 수 있다.
- 밀란 쿤데라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없었던 사람의 변명 - 흐흐흐흐..
그때가 내가 대학생 때였는데, 지금 다시 도전해 보면 잘 읽을 수 있을까?

뭐.. 더 할 말이 있었던 거 같은데, 생각이 안 나는군.

폴 오스터로 시작해서 아코타 크리스토프, 지금은 코엘료의 소설을 읽고 있다. 셋 다 어찌나 개성이 다른지..

이렇게 온전히 책에 몰입할 수 있는 시간이 있다는 게 썩 기분 좋다. 요러고 나면 또 한 동안 못 읽는 시간이 돌아 올 것이다.


Posted by 몽여사
,